역사'story

유가와 도가 사상의 정의

서현이네 스토리 2013. 10. 13. 10:45

유가와 도가 사상의 정의

 

공자(기원전551~기원전479)의초상화

공자의 유가사상

 

유가사상의 창시자는 공자이다.

 

공자는 기원전 551년 노(지금의 산둥 성 취푸 지방)나라에서 출생했다.

 

공자의 이름은 구, 공자의 자는 중니이며,

 

공자는 유년시절에 부친을 여의고 모친과 빈궁한 생활을 했다.

 

공자는 장성해서는 벼슬길에 오르고자 치국과 관련된 여러문제에 관심을 기울였다.

 

공자는 한때 노나라의 위리, 승전등 하급 관직을 지내기도 했다.

 

공자성적도

 

노 정공 12년에 노나라의 실세인 맹손,

 

숙손, 계손등 삼환씨의 세력 을 꺽고자 한 시도가 실패한 공자는 조국인

 

노나라를 떠나 제후국을 떠도는 신세가 되었다.

 

그후 공자는 제자들을 거느리고 송, 위, 전, 채, 제, 초나라등을 유랑하며

 

자신의 정치적 신념을 펼치려 했으나 모두 거부당햇다.

 

공자는 세상을떠나기 5년쯤 제자 염구의 도움으로 다시 노나라로 돌아왔다.

 

공자고향 곡부의 니산

 

기원전 479년 향년 72세를 일기로 공자는 별세했으며

 

산둥성 취푸북쪽 쓰수이 강에 공자는 안장되었다.

 

공자는 이성적인 사회 질서를 확립하고자 친친, 존존, 사상을

 

입법에 반영해 예치 , 덕치, 인치 를 실현하려 했다.

 

공자 그가 구상한 이상적인 사회질서는 "윤리"를 바탕으로

 

개인의 수양을 근본으로 하고 도덕적인 정치를 펼치는 것이었다.

 

그래서 인간의 의식주행(의복, 음식,주거,교통)에 대한

 

규범을 올바로 세워 인경 형성의 원칙으로 삼고자 했다.

 

공자행단강학도

 

특히, 공자의 인을 중시하는 가치관은 중국의 민족성을 대표하는 정서로 자리매김했다.

 

공자가 없었다면 중국은 예의지국의 칭호는 커녕 우매하고

 

야만적인 국가로 오랜세월을 보냈을지도 모른다.

 

유가사상과 함께 중국인에게 깊은 영양을 끼친 사상은 도가사상를 꼽을 수 있다.

 

 

노자

 

노자의 도가사상

 

도가사상의 창시자는 노자이다.

 

노자는 이름은 이이, 노자의 자는 백양, 노자의 시호는 담이다.

 

이이는 태어날 때부터 눈썹과 수염이 하얗게 새어 있어 노자라 불렸다고 한다.

 

도가사상의 창시자인 노자는 중국 철학 사상 최초로 우주의 본질을 탐구한 철학자로 꼽히며,

 

자연만물은 각자의 규칙적인 운동과 변화의 법칙이 있으며

 

그법칙이 바로 도라고 노자는 도가사상을 통해 주장했다.

 

우주 만물을 분석해 노자는 인법지, 지법천, 천법도, 도법자연 이라는

 

논리를 펼쳐 도가사상을 전파했다.

 

즉 사람은 땅을 따르고, 땅은 하늘을 따르며, 하늘은 도를 따르고,

 

도는 자연을 따른다는 것이 노자의 도가사상인 것이다.

 

노자출관도

 

또한 노자는 절대 변하지 않는 진리로 사람은 반드시 도를 따라 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자는 도에 순응할 때 무병장수 할수 있다고 여겼다.

 

도가사상은 또 청정무위, 반박구진, 순응자연등의 학설을 주장했다.

 

노자가 말한 무위는 인간의 주관적이고 능동적인 성향을 충분히 발휘하는 태도로 소극적인 성향과 구별된다.

 

노자는 특히 변증논리의 대가였다. 도가사상 학파는

 

불교 철학이 중국에서 발전하는데 큰역활을 했다.

 

도가사상의 우주, 사회, 인생에 대한 독특한 해석은 중국철학사에

 

생명력을 불어 놓었고 시간이 흐를수록 그 진가르 발휘하고 있다.

 

유가사상이 선천하지우이우, 천하흥말필부유책의 논리를 폈다면

 

도가사상은 채국동리하,유연견남산의 경지를 고수했다.

 

중국의 사상, 문화는 유가사상과 도가사상의 복합적인

 

영향을 받아 지속적으로 발전하며 인류의 문명과 예술사의 발전에 큰 공헌을 했다.

 

노자에게 예에 대해 묻는 공자

 

1세기초에 유가사상이 한국에 유입되었다.

 

5세기경에 유가사상이 일본에 유입도입 되었으며 유가사상의 윤리,

 

도덕사상은 지금까지도 한국과 일본사회의 내면 깊숙이 스며들어 사회안정에 기여한고 있다.

 

동양 문화의 주축이 되고 유가와 도가 사상은 명, 청시대에

 

서유럽에 전파되었으며 프랑스의 유명한 계몽주의 사상가 볼테르는

 

유가사상에 매료된 대표적인 서양 철학자이다.